지금, 여기, 우리.

[종두법 이야기]종두법 발견 본문

떠드는공간

[종두법 이야기]종두법 발견

smile0e 2014. 6. 10. 23:56
[종두법 이야기]종두법 발견

 

인류는 불과 2세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오늘날에는 간단히 예방할수 있는 결핵이나 장티푸스, 천연두 등과 같은 전염벼엥 시달렸다. 18세기 이전 영국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천연두에 걸렸고, 5명당 1명정도가 이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베살리우스나 하비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인체의 비밀이 많이 밝혀졌으나, 질병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는 바가 별로 없었다.

 

질병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떻게 전염되는지, 또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다. 단지 몇가지의 질병은 그병을 앓고있는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서 걸릴수 있으며, 한번 걸렸다가 살아나면 다시는 걸리지 않는다는 정도만을 경험을 통해 알고있었다. 치사율이 40%에 이르는 천연두도 그러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약용의 마과회통의 부록인 종두기법에 최초로 종두에 대한 기록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만 실용화 되었을 것으로 짐작될뿐 보편화 되지 못한채 서학의 탄압과 함께 중단되었다.

그뒤 일본에 간 박영선이 처음 종두법을 배워오면서 종두귀감을 구하여 지석영에게 주었다.

 

 

 

 

지석영은 일본이 부산에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병원인 제생의원에서 종두법을 익힌 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주민들에게 처음으로 예방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는 1880년 제 2차 일본 수신사를 수행하면서 종두법에 관한 기술과 서적, 약품등을 가지고 귀국하여 본격적인 예방활동을 벌였다.

 

 

 

세계보건기구는 1979년 10월 천연두 근절 선언을 공포해 현재 종두법은 사실상 시행되지 않고있다. 18세기말 미국의 제퍼슨 대통령이 예견했듯이 천연두라는 무서운 질병은 2세기만에 인간의 노력에 의해 극복된 것이다.

 

 

LIST

'떠드는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 채소 구분  (0) 2014.07.21
[사자성어] 공중누각  (0) 2014.07.06
[현미경 발명]현미경의 역할  (0) 2014.06.06
[불의 발견]불의 발견과 이용  (0) 2014.06.01
[재미있는 움짤]재미있는 움짤  (0) 2014.05.23